중앙일보에서 본 충격적인 경제기사 한편 공유 합니다.
우리나라의 연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200%가 처음으로 넘었다는 것인데요.
그러면 200%가 넘는 나라는 한국 밖에 없는가. 그건 아닙니다만
무려 일곱개 나라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 나라들이 복지선진국인 덴마크, 노르웨이, 스위스, 호주 등 입니다.
즉, 본인 소득이 적어도 나라에서 많은걸 책임져 주기에 본인 가처분소득이 엄청 많을 필요가 없는 나라라는 것이지요.
그럼 한국에서 항상 비교하고 싶어하는 미국은 어떻게 되었느냐....
2008년을 기점으로 미국은 계속 줄기 시작해서 2019년에 104.6% 입니다. (2020년, 2021년은 코로나 때문에 늘었겠지만) 한국의 200프로와는 비교할 수가 없네요.
미국은 2008년에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가계부채를 줄이는 추세였는데, 한국은 정반대였습니다. 계속 빚내서 집사라는 정책으로 집값을 띄웠죠.
신문기사에서는 최근의 영끌, 빚투, 그리고 코로나 생활고가 그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생활고는 전세계 공통이기에 비정상적인 부동산 선호 현상. 영끌, 빚투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가계 연소득 대비 부채비율 첫 200% 넘었다…OECD 6위 [뉴스원샷]
지난해 한국 가계의 '순가처분소득(net disposable income) 대비 부채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20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가계의 '순가처분
www.joongang.co.kr
위 기사 원문은 위 링크와 같습니다.
유튜버 엘리엇님이 저 기사에 대해 분석해놓은 주요국 가계부채 그래프를 보면.
대부분의 나라들 (미국, 영국, 스페인)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율이 줄어들었고,
일본은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가계부채가 줄었습니다.
- 이후 2013년 아베노믹스 이후 조금 늘긴 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집계가 시작된 2009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신뢰도가 전세계 40등대를 기록하는 한국 언론들은 아주 신뢰도 높게도
연예인 100억대 아파트. 또는 강남 초고가 아파트 기사들을 올리고 있으며
심지어는 금리 인상을 해도 집값은 안 떨어질거랍니다.
그런데
불과 10년 전 기사인데요. 하우스푸어가 무려 156만명이라고 하네요.
그러는 와중에
최근 기준금리 달랑 2번 올렸는데도,
영끌족들 이자 부담에 떤다는군요.
200%가 넘는 가계부채. 정말 큰 문제입니다.
제 글을 보셨다면 아래에 있는 공감 '♡' 및 댓글 한번씩 부탁드려요 ^^
'금융-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지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일정 및 청약 분석 (7) | 2021.12.16 |
---|---|
증권신고서 찾아보는 방법 (21) | 2021.12.14 |
가계 연소득 대비 부채비율 첫 200% 넘었다 (feat. 엘리엇 tv) (24) | 2021.12.13 |
3기 신도시 하남교산지구 청약 (9) | 2021.12.07 |
토스뱅크 이자 알아보기 및 토스뱅크 카드 (13) | 2021.11.04 |
롯데마트 올해 두번째 희망퇴직 (10) | 2021.11.02 |
역시 항상 돈이 문젭니다 ㅠㅠ
답글
맞아요. 엄청난 가계부채. 저는 부채보다 선풍기를 좋아합니다. ㅋㅋ
우오 덴마크나 호주가 높을 줄은 생각도 못했어요! 쟈네는 굳이 빚 안져도 되지 않나? 막연히 생각했는데요 그나저나 미국 의외네요^^; ㅋㅋㅋㅋㅋ 왠지 빚 엄청 지고 있을 줄 알앗는데
답글
덴마크나 호주는 복지가 잘 되어 있어도 워낙 세금이 많은 편이라서 분모 자체가 적은 것 같아요. 그러니 큰 걱정은 안 하고 사는 것 같습니다.
미국은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한국과 반대로 은행들이 가계부채를 관리하면서 빚이 엄청 줄었죠.
주식열풍..코인 열풍으로...
영끌.빚투...큰일이네요...
잘보고 갑니다^^
답글
주식, 코인 , 영끌, 빚투. 모두가 오른다고 생각하고 샀는데, 생각보다 잘 오르지 않는 느낌도 들어요. ㅋ
휴~~~ 정말로 필요한것이 돈이기는 한데... 부채비율이 엄청나네요~~
답글
이 자료 말고, GDP 대비 가계부채율은 세계 1등입니다.
마치 빚으로 쌓은 사상누각의 느낌이에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자주 놀러오겠습니다.
저도 고등학생때부터 주식투자에 관심이 많았는데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답글
아. 감사합니다. 저도 좋은 글 보러 달려가보겠습니다.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이 가계부채 ㅠㅜ 영끌 거기에 빚투 아 아 한숨만 나오는거 같네요 ㅠㅜ
답글
영끌과 빚투가 가계부채를 폭증시켰지요.
과연 이 광란의 끝은 어떻게 될지....
개인이나 국가나
요즘 추세가 빚 무서운줄 모르는 것 같아요
답글
대한민국은 국가는 빚지는걸 주저하고 있는데, 가계가 더 무서운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세계최대의 가계부채율. ㅋ
사실 이제 부채 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네요~ 서민의 삶이란 ㅜ ㅜ
오랜만에 들렸네요^^
답글
부채 대신 선풍기나 에어컨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ㅎㅎ
농담입니다. ㅋㅋ
정말 이 놈의 집값 때문에
걱정이 많습니다 ㅜㅠ
어떻게든 해결이 되야 할텐데요 !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연풍연가 님은 경제 분야에도 많이 알고 계신 것 같아요.
덕분에 잘 읽고 갑니다. ^*^
답글
과찬이세요.
그냥 경제신문 정도 읽는 수준입니다. ㅎㅎ
유튜브 엘리엇tv 채널추천 감사드립니다. 요즘 경제관련 유튜브 조금씩보고있는데 요것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