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가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에는 경비율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됩니다.
여기서 경비율이란 사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경비를 인정받는 비율을 뜻하는데요.
해당 업종의 경비율은 아래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teht.hometax.go.kr
기준경비율을 구분하는 금액은 위와 같은데요. 20년도도 19년도와 금액은 같습니다.
위 금액 이상이 되면 기준경비율 대상자. 미만이면 단순경비율 대상자 입니다.
기준경비율에 대한 네이버 지식백과의 설명을 보면
기준경비율 - 소득세를 신고할 때 수입 금액에서 주요 경비를 빼고 다시 수입 금액에 국세청이 정한 업종별 비율을 곱한 금액을 공제해 계산
단순경비율 - 단순하게 업종별로 정해진 비율만을 공제해 세금이 정해진다.
즉, 단순경비율은 사업을 처음 시작하거나 전년도의 수입금액이 위에 나온 금액에 못 미치는 경우에 적용되는데요.
상당히 낮은 세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제 지인분은 기준경비율 대상자여서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주요경비 (매입 세금계산서 금액 등) 및 업종별 비율 곱한 금액을 빼서 적용받게 됩니다.
경비율에서는 일반율과 자가율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됩니다.
자가율 - 자가사업자에게 기준경비율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기준경비율의 일반율에 업종 구분없이 0.4를 가산하여 적용한다.(아래 “”의 업종은 제외한다) * 계산례 기준경비율의 일반율이 11.6인 경우 적용할 기준경비율의 자가율은 12.0임 (11.6 + 0.4 = 12.0)
용어의 뜻은 어려운데요.
임차하여 사업을 하는 경우 일반율이 적용되고, 자가 건물에서 사업을 하는 경우 자가율이 적용됩니다.
즉, 위 산식대로라면 기준경비율에서 자가율이 적용되면 경비를 +0.4%를 더한다는 것인데요.
대부분 자영업 하시는 분들은 임차해서 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으니 일반율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지인분의 종합소득세 신고를 도와드리다가 알게 된 용어들을 정리해봤습니다.
다음에는 실제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
제 글을 보셨다면 아래에 있는 공감 '♡' 및 댓글 한번씩 부탁드려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고양이 진드기 제거 (36) | 2021.05.11 |
---|---|
전월세신고제 내용 정리 (18) | 2021.05.08 |
기준경비율 - 일반율과 자가율의 차이 (28) | 2021.05.05 |
KFC 매월 1일 치킨 1+1 (33) | 2021.05.01 |
네이버 전세금 반환보증 (26) | 2021.04.30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친구추천 (30) | 2021.04.29 |
ㅠㅠ 지난 번에 홈택스 이용하면서 내가 머리가 이렇게 나쁜가 하면서 고통스러웠던 기억이 있는데 단순 경비율 의미를 이제....알았네요.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해요!
답글
저도 최근에 경험하면서 알게 되었어요. 홈택스 이용하시는걸보니 개인사업 하시나봅니다.
이것저것 저도 배워보고 있어요 ㅎ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자세히 설명을 해주셔서 잘 보고 배웠네요.
답글
저도 잘 몰라서 공부하다가 정리했습니다.
말씀 감사드려요
세금은 넘 어렵네요 ㅠㅠ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저도 잘 몰라요. 공부하면서 알게된걸 정리해봤어요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하트꾹 누르고가요 😀
답글
네. 감사해요. 좋은 밤 되시길
매번하면서도 헷갈리고 어려운 내용이예요 ㅠ
이번 신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잘 정리해주셨네요 !
잘 보았습니다.
오늘도 꾹 꾹 !
즐거운 어린이날 되세요 !
답글
올해 했던 내용을 내년에도 또 할테니 안 까먹기 위해서
미리 정리해놓으려구요.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시길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
도움이 되는 정보이면 좋겠어요.
고맙습니다
올해는 저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하는데
걱정이 앞서네요
잘배우고 갑니다
답글
ㅎㅎ 저도 공부하면서 올려보고 있습니다. 알고보면 어렵지 않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
우와 너무 좋은 정보에요 ㅎㅎㅎ 감사드립니다 ㅎㅎㅎ
답글
네. 말씀 감사드립니다. ^^
저도 열심히 올려보겠습니다.
기준경비율에 대해 알고 갑니다
오늘도 여유로운 하루되세요.. ^^
답글
네. 방문 감사드려요. 열심히 올려보겠습니다.
제가 몰랐던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꾸벅^^
멋진 날 되셔요~
답글
네. 방문 감사드려요. 저도 공부하면서 올려보고 있습니다. ^^
자세히 설명해주셨는데 세법은 역시나 어렵네요ㅜㅜ
답글
ㅎㅎ 사람들의 삶과 가까이 있지만, 가까이 하기에는 복잡해보이지요.
저도 잘 몰라서 공부하면서 보고 있어요 ^^
아하.. 이건 좀 시간을 들여 정독을 해야겠습니다.
사업자 내고 나면 저도 종합소득세 신고자가 될테니까욤ㅎ
답글
종합소득세, 부가세를 넘어서, 나중에 법인세까지 내게 되시길 바랄게요.
그렇게 되실 거에요. ^^